광주시 시내버스 노선 전면 개편 앞두고 주민 우려…이자형·황소제 의원, 긴급 정담회 개최

이자형 도의원·황소제 시의원 광주 스마트교통과와 긴급 정담회 실시
실제 이용객인 광주시민 의견을 반영한 버스 노선 개편 이루어져야

 

광주시= 주재영 기자 |오는 8월 1일 전면 시행을 앞둔 광주시 시내버스 노선 개편을 둘러싸고 시민 불편과 혼란이 우려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이자형 경기도의원(비례)과 황소제 광주시의원(다선거구)이 지난 22일 광주시 스마트교통과와 긴급 정담회를 갖고 관련 현안을 집중 논의했다.

 

이번 버스 노선 개편은 광주시의 교통체계 효율화를 위한 8년 만의 대개편으로, 방세환 시장의 핵심 공약이자 추자동 버스 차고지 이전에 따른 후속 조치다. 광주시는 수년 전부터 개편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고 설명했지만, 정작 개편안의 시행을 앞두고 충분한 사전 안내와 시민 의견 수렴이 부족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정담회에서는 ▲기존 노선 삭제 ▲환승 불편 ▲노선의 급격한 변경 등으로 인해 노인, 학생,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이 침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오포읍 문형·추자·고산동 등 교통소외 지역의 학생들이 광주 도심권(역동·경안·탄벌·송정동)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문제가 집중 논의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성남오포1·2동광주역광주차고지를 연결하는 17번, 17-1번, 660번 노선과 서울 무역센터광주터미널 간 G3202번 노선을 중심으로 조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자형 도의원은 “학생들의 통학권 보장이 간과된 노선 개편은 매우 유감”이라며, 광주시가 시민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편안을 재검토할 것을 강하게 요청했다. 황소제 시의원도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이 보장되지 않은 버스 개편은 실효성을 가질 수 없다”며 “현행 개편안의 전면 재조정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자형·김선영 도의원과 박상영·황소제 시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광주시(을) 지역위원회는 향후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똑버스’와 학생순환 통학버스 등 대안을 포함해 시민 불편 해소를 위한 제도적 보완에 나설 것을 예고하며, 지속적인 점검과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