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일보 주리아 기자 | 서울 성동구는 서울시 자치구 최초로 기존 복지국과 구분되는 국 단위 통합돌봄 정책 전담 조직인 ‘통합돌봄국’을 오는 10월 1일부터 별도 신설한다고 밝혔다.
이번 ‘통합돌봄국’ 신설은 정부의 국정과제인 ‘지금 사는 곳에서 누리는 통합돌봄’을 지역 차원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2026년 3월 시행 예정인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조치다.
특히, 복지 관련 기존 국 조직에 돌봄 업무를 추가 또는 통합하는 방식이 아닌, 통합돌봄 정책만을 전담으로 총괄하는 ‘통합돌봄국’을 별도로 신설한 것은 서울시 자치구 중 성동구가 처음이다.
‘통합돌봄국’은 통합돌봄과, 어르신복지과, 장애인복지과, 희망복지과로 구성됐으며, 그동안 복지·보건·주거 등 개별 부서에 흩어져 있던 돌봄 기능을 하나로 통합했다. 또한, 어르신·장애인·고립가구 등 다양한 대상자를 아우르는 맞춤형 돌봄 정책을 총괄·연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나아가, 의료·요양·돌봄·주거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지역 기반 돌봄 모델을 구축해 주민 누구나 살던 곳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갈 방침이다. 이는 정부의 국정목표인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구현에 기여하면서, 자치구가 국정과제를 현장에서 이행하는 모범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성동구는 지난해 12월 보건복지부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지역으로 선정됐으며,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어르신들이 주거지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는 ‘성동형 통합돌봄 지원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 중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장비와 맞춤형 건강서비스를 결합한 ‘스마트헬스케어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다. 60세 이상 구민과 근감소증이 우려되는 중장년 등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스마트헬스케어센터’는 지난해 12월 사근동을 시작으로 올해 3월에는 송정동에 설치하여 총 2개소를 운영 중이다. 오는 9월에는 왕십리제2동, 금호1가동에 추가 개소할 예정이며, 장기적으로는 동별 1개소 설치를 목표로 어르신들의 접근성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돌봄 정책을 전담하는 ‘통합돌봄국’ 신설은 단순한 조직 확대가 아니라, 정부의 국정과제를 자치구 현장에서 적극 실행하는 의미있는 시도”라며, “성동구민이 지금 사는 곳에서 안심하고 돌봄을 누릴 수 있도록, 지역 특성에 맞는 선도적인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