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주재영 기자 | 광명시(시장 박승원)가 전 시민에게 지급한 ‘민생안정지원금’이 지역경제 회복과 소비 활성화에 뚜렷한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시는 1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민생안정지원금 효과분석 결과’를 발표하며, 서울대 산학협력단의 분석을 인용해 “총 257억 원의 지원금이 2천44억 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민생안정지원금은 지난 1월 전 시민에게 1인당 10만 원을 ‘광명사랑화폐’로 지급한 사업으로, 지급률 93.4%, 사용률 98.9%를 기록했다. 지급 직후 식품·외식 업종의 일평균 거래 건수는 3만3천 건, 일매출은 2억3천만 원 증가했다. 시민의 84.6%, 소상공인의 78.8%가 정책에 만족한다고 응답해 체감도가 높았다.
지원금이 지역화폐로 지급되면서 골목상권의 소비 순환이 촉진됐고, 광명사랑화폐 발행액은 2019년 78억 원에서 올해 10월 2천457억 원으로 급증했다. 시는 인센티브율을 15%까지 높이고, 한 달간 사용액의 5%를 돌려주는 캐시백 정책으로 소비 확대를 유도했다.
경제적 파급효과도 컸다. 경기도 내에서만 694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105억 원의 가계소득 증가, 15억 원의 지방세수 확대가 나타났으며, 전국적으로는 총 501명의 고용이 유발됐다.
박승원 시장은 “민생안정지원금은 단순한 일시적 지원을 넘어 시민이 중심이 되는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모델을 만든 정책”이라며 “앞으로도 시민과 소상공인이 함께 성장하는 민생정책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