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장일보= 주재영 기자 |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장, AI강국위원회 AX분과장)이 25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여성공학인력 활용 정책의 제도화 방안’ 국회 정책포럼을 열고 산업 현장에서 여성 공학 인재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을 모색했다.
이번 포럼은 이언주(더불어민주당)·이인선(국민의힘)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공동 주관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개회사에서 “반도체·에너지·AI 등 국가 전략산업이 고도화될수록 공학 인재 수요는 늘어나지만 여성 인력의 산업 참여는 여전히 낮고 경력단절·승진 장벽은 여전하다”며 “이는 개인 문제가 아니라 국가 경쟁력의 발목을 잡는 심각한 제약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글로벌 기업 여성 임원으로 활동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여성 공학 인재들의 활약이 대한민국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포럼에는 이언주·이인선 의원을 비롯해 이영옥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장, 김종숙 한국여성정책연구원장 등이 참석했으며, 김희 포스코경영연구원 전무가 좌장을 맡아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송영서 아주대학교 특임교수는 ‘공대 여학생 산업현장 진출지원 정책’ 발표에서 산업계 여성 기술인력 비율 변화와 지원 정책 사례를 소개하고, ▲현장 연계 교육 시스템 ▲여대생-재직자 멘토링 ▲산학연계 교육 프로그램 ▲재교육 및 멘토링 강화 ▲기업 인센티브 지원 등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임미숙 한국여성정보인협회장은 ‘경력단절 예방 및 성장지원 대책’ 발표에서 진입-적응-성장 전 단계 지원체계 구축과 기업 내 경력 변화 관리 지표 도입, 다양성·포용성 기반 산업별 맞춤 정책을 제안했다.
신선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원장은 **‘여성공학인력 활용 확대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하며 민관협력체 운영, 전담기구 설치 및 정책전달 체계 강화, 산업현장 양성평등문화 확산 등을 통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여성 공학 인력이 산업 현장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이 국가 경쟁력 강화의 핵심”이라며 법·제도 개선과 정책적 지원의 중요성에 뜻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