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경북도, 연이은 폭염, 포도 안정생산을 위한 고온기 과원 관리 당부

포도 축과병과 일소증상 등 고온으로 인한 생리장해 증가

 

광장일보 주재영 기자 |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이른 폭염으로 포도 축과병과 일소 증상 등 고온으로 인한 생리장해가 증가함에 따라 안정적인 포도 생산을 위해 고온기 과원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축과병이란 33℃ 이상의 고온에 의해 증산량이 높아지면서 과실이 수분을 뺏기고 울퉁불퉁하게 함몰돼 상품성을 잃는 현상이며, 일소 증상은 고온과 강한 햇빛에 의해 잎, 과실 등 식물의 조직이 익어 고사하는 것으로 햇볕 데임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증상을 입으면 포도송이의 모양이 불량해 상품성을 잃으며, 송이 전체에 피해를 본 경우에는 수확량을 크게 떨어뜨려 농가에서는 고온기 과원 관리에 힘써 품질과 수량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적정 착과량을 준수해야 한다.

 

10a(300평) 기준 최종 수확 시에 2톤 이하를 생산하는 것이 적절하며, 과다한 착과량은 생리장해 피해를 가중할 뿐 아니라 앞으로 고온의 환경에서 과실을 성숙시키기도 어렵다.

 

적절한 관수로 충분한 증산을 유도하고 수체 온도를 떨어뜨려 과실이 수분을 뺏기거나 햇볕에 데는 현상을 막아야 한다.

 

특히, 35℃를 초과하는 폭염에는 10a(300평)당 하루 약 6~7톤의 물이 증‧발산하므로 5일 간격 30톤 또는 3일 간격 20톤 이상 관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봉지씌우기를 최대한 빨리하는 것이 좋으며, 배기‧순환팬 설치로 열기를 배출하거나 비가림 비닐에 차광 도포제를 처리해 고온 경감에 힘쓰는 것도 도움이 된다.

 

조영숙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지난해보다 이른 폭염으로 포도를 비롯한 과실의 안정 생산이 우려된다”며 “농가에서는 관행 대비 세심한 여름철 과원관리 기술을 실천해 주길 당부드리며, 현장기술지원 등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