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일보 주재영 기자 | 전북자치도는 7월 28부터 고령자 및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도민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신청”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이번 서비스는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소비쿠폰 지급의 본래 취지를 살려,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도민도 빠짐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신청기한은 9월 12일까지이며, 전 도내 14개 시군과 242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직원 약 1,200명이 함께 참여한다.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는 복지부서 및 사회복지협의회 등과 연계해 사전에 대상자 발굴을 통해 선제적으로 방문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또한, 현장에서 바로 신청과 지급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선불카드 등을 사전에 준비하여 도민들에게 최대한 편의를 제공할 예정이다.
거동이 불편한 도민 뿐만 아니라 아직 신청하지 않은 도민에게도 신청을 권장하여 도민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한편, 도는 소비쿠폰의 부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부정유통 신고센터”를 11월 말까지 운영한다.
소비쿠폰을 재판매하여 차액을 수취하거나 물품 구매 없이 부정 사용하여 차액을 현금화하는 사례 등이 적발될 경우 관련법에 따라 소비쿠폰 환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등록 취소 및 과태료 부과, 향후 정부 보조금 지원 제한 등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소비쿠폰을 사칭한 스미싱 문자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소비쿠폰 지급 대상 확인’ 또는 ‘신청 누락’ 등을 빙자해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를 전송한 뒤, 앱 설치를 유도하거나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공식 문자 외의 링크 클릭은 금지하고, 의심되는 경우 즉시 “한국인터넷진흥원”(국번 없이 118)에 신고해야 한다.
김종훈 경제부지사는 “민생경제 회복과 지역 소비 촉진을 위한 소비쿠폰 지급이 도민 어느 누구도 빠짐없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더불어 소비쿠폰이 어려운 소상공인들을 위해 실질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도민 여러분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드린다. ”고 밝혔다.